
환경감시일보 김용태 기자 |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5월 말 남해 연안에서 발생한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지난 9일 진해만을 끝으로 전 해역에서 완전히 소멸했다고 11일 밝혔다.

수산과학원은 최근 진해만 전 해역 저층에서 용존산소 농도가 6.50~8.30㎎/L 범위로 나타남에 따라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으며,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(용존산소) 농도가 3㎎/L 이하를 뜻한다. 어패류의 호흡 활동을 방해해 피해를 유발한다.
올해 남해안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지난 5월 30일 가막만과 북신만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6~7월 진해만, 자란만, 고성만, 한산만으로 확대됐었고, 지역에 따라 3~5개월 이상 지속됐으며, 여름철 고수온과 자주 내린 비로 인해 7월 중순에서 9월 중순에 가장 강하게 발달하여 10월부터 점차 세력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.
수산과학원 이원찬 어장환경과장은 "산소부족 물덩어리로 인한 양식생물 폐사 등 어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조사 강화는 물론 실시간 관측시스템 확대와 예측 기술을 지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겠다"고 말했다.